목포해양대 결국 ‘목포’ 빠진 교명변경
생존 위한 자구책…인재유출 방지 사활
지원금·캠퍼스 구축·의대유치 등 총력

 

전남도는 지난 4일 목포시, 순천시, 목포대, 순천대와 함께 전남 국립 의과대학 설립을 위한 제2차 도민토론회를 열어 지역 의료현실과 의과대학 설립 필요성을 논의했다. /전남도 제공

수 년째 지역사회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목포해양대 교명이 결국 ‘목포’가 빠진 채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8년 10월부터 학교 이름에서 ‘목포’를 빼기 위한 교명 변경 절차를 추진해왔지만, “‘목포’가 빠지면 절대로 안된다”는 지역사회 반발이 이어졌다. 하지만 결국에는 ‘지방대 위기’라는 공감대 속에 교명 변경은 현실화 되고 있다.

목포해양대는 최근 전체 교수회의에서 교명 변경 찬성이 81.7%(58명)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학은 찬성이 압도적으로 높은 만큼 다음 달 초 회의를 한 차례 더 열어 무슨 교명으로 변경할지 결정할 예정이다.

해양국립대학교, 국제해양대학교, 한국해양과학대학교, 해양과학기술대학교, MARINE KAIST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목포해양대는 100만명이 넘는 학령인구가 40만까지 내려가 지방대학 수 백 개가 문을 닫아야 하는 절박한 위기를 극복하고 제2의 도약을 위한 변화와 혁신을 선포하는 기틀을 마련하는 첫걸음이 교명이 변경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지역사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교명 변경이 추진된 배경에는 지방대는 갈수록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전국 지방대학은 미달 사태가 속출했다. 지난 2월 마감한 정시모집 등록에서 전국 162개교에서 2만 6천 129명의 미달이 발생했다.

광주·전남지역의 경우도 2021학년도 신입생 최종 등록을 마감한 결과 지역거점 국립대인 전남대마저도 정원 140명을 채우지 못하는 등 대부분의 대학들이 미달사태에 직면했다. 여기에 내년부터는 지방세를 면제해주던 특례까지 사라지게 돼 재정 사정이 더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그야말로 엎친데 덮친 격이다.

이처럼 지방대 위기가 현실화 되면서 전남지역 자치단체도 생존 위기에 처한 ‘지방 대학 살리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대학 쏠림 심화로 인해 지방 대학이 고사될 위기에 처하자 지자체가 우수 인재 유치와 대학 경쟁력 강화에 직접 나선 것이다.

순천에서는 대학생에게 전입 지원금을 주고 있다. 1인당 최대 50만원이다.

나주시에서도 관내에 있는 동신대와 손잡고 e 스마트 모빌리티 캠퍼스 구축으로 경쟁력을 확보해 위기를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메이커스페이스(에너지메이커스팜)와 협업해 국내 대학 최초로 전기자동차(EV)의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에너지캠퍼스’를 구축한다.

전기차에서 사용한 배터리의 잔존 용량은 평균 70~80% 수준으로 전기차 배터리로 계속 쓸 순 없지만 에너지 저장 장치(ESS), 전기 자전거, 전기 오토바이, 전동 킥보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전남도에서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지역인재들을 수도권 등에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현재 전남권 의대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의대 유치가 확정된다면 목포대·순천대 두 곳 중 한곳이 선택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지역인재 확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옥현 전남도의원(목포2)는 “지방대 위기는 곧 지역 소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 더욱 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방안 마련에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지훈 기자 jhp9900@namdonews.com
 

"광주전남 지역민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